목록전체 글 (46)
Dende
LPAD(), RPAD() 함수 이 두 함수는 문자열의 왼쪽 또는 오른쪽을 특정 문자열로 채워주는 함수입니다. LPAD는 LEFT(왼쪽) + PADDING(채우기)의 줄임말, RPAD는 RIGHT(오른쪽) + PADDING(채우기)의 줄임말인데요. 예를 들어 LPAD(age, 10, ’0’)는 age 컬럼의 값을, 왼쪽에 문자 0을 붙여서 총 10자리로 만드는 함수입니다. 보통 어떤 숫자의 자릿수를 맞출 때 자주 사용하는 함수입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무슨 뜻인지 바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age 컬럼의 데이터 타입은 숫자를 나타내는 INT 형이었죠? 어떻게 숫자를 문자열 함수의 인자로 넣었는데 잘 작동한 걸까요? 비록 숫자이더라도 문자열 함수 안에 인자로 넣어주면 그 값이 자동으로 문자열로 형 ..
▶사용법 CASE WHEN 조건 THEN '반환 값' WHEN 조건 THEN '반환 값' ELSE 'WHEN 조건에 해당 안되는 경우 반환 값' END - WHEN과 THEN은 한쌍이어야 합니다. - WHEN과 THEN은 다수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 ELSE가 존재하면 모든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반환 값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ELSE가 존재하지 않고, 조건에 맞지 않아서 반환 값이 없으면 NULL를 반환합니다.
CAST(type) : 데이터 타입 변환 signed는 양수와 음수를 포함한 모든 정수를 나타낼 수 있는 데이터 타입입니다. 이 SQL 문을 실행해보면, 이렇게 data 컬럼의 타입이 INT였을 때와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방금 말한대로 data 컬럼의 값들이 일시적으로 signed 타입으로 변환되어 해석되었기 때문입니다. 만약 어떤 컬럼의 숫자값들이 TEXT 같은 문자열 타입으로 저장돼있지만, 정렬 기준으로 쓸 때는 숫자형으로 사용하고 싶다면 CAST() 함수를 쓰면 되겠죠? 참고로 만약 문자열 타입으로 저장된 숫자값에 소수점이 포함되어 있다면 signed 대신 decimal(소수점이 있는 수를 나타내는 타입)을 적어주고 사용하면 됩니다. 이건 여러분이 직접 실험해보시기를 추천합니다.
1. 이스케이핑(escaping) 문제 예를 들어 이 test라는 테이블을 잠깐 봅시다. test 테이블 안에는 sentence라는 컬럼 하나가 있는데요. 각 row의 값들을 보면 위 그림의 빨간 박스 표시처럼 % ' _ " 와 같은 문자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문자들은 일반적인 문자임과 동시에 '어떤 것이 문자열이라는 것을 나타내거나(', "), 문자열의 특정 패턴을 나타내는' 표현식(%, _)들인데요. 잠깐 이 테이블에서 sentence 컬럼에 퍼센트 기호(%)가 포함된 row를 찾아야한다고 해봅시다. 우리가 이전에 배운대로 먼저 %를 써주고 그 앞 뒤로 임의의 길이의 문자열을 나타내는 %를 또 써준 뒤, 실행했습니다. 하지만 위 결과를 보니 우리가 예상했던 For 51%만 나온 게 아니라 전체 ..
과목명장절데이터 모델링의 이해SQL 기본 및 활용데이터 모델링의 이해데이터모델의 이해엔터티속성관계식별자데이터 모델과 성능정규화와 성능반정규화와 성능대용량 데이터에 따른 성능DB 구조와 성능분산DB 데이터에 따른 성능SQL 기본정보 요구 사항DDLDMLTCLWHERE 절FUNCTIONGROUP BY, HAVING 절ORDER BY 절조인SQL 활용표준조인집합연산자계층형 질의서브쿼리그룹 함수윈도우 함수DCL절차형 SQL
CLI의 정의 CLI 는 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 (Command Line Interface)에 사용되는 머리 글자 어로, 1980 년대에 광범위하게 사용 된 전통적인 인터페이스입니다. 명령 줄 인터페이스 (CLI)를 사용하면 터미널 이나 콘솔 창에 명령을 작성하여 운영 체제와 통신 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명령을 작성하고 시스템에서 응답을 수신하여 시각적 프롬프트에 응답하는 매체입니다. 사용자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명령 또는 명령 트레인을 입력해야합니다. CLI는 GUI보다 정확하지만 명령과 구문을 숙달해야합니다. 그것은 인지 과정 을 우선 과제로 강조합니다. CLI는 입력 정밀도가 우선시되는 값 비싼 컴퓨팅에 적합합니다. CLI의 단점 CLI는 정기적으로이 명령을 사용하고 다양한 명령과 옵션을 기억..
2절 엔티티 ▪︎ 개념 - 업무에 필요하고 유용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집합적인 것(Thing) [오브젝트] - 인스턴스(리스트 아이템)의 집합 - 테이블과 비슷한 개념 ▪︎ 특징 - 해당 업무에서 필요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 - 유일한 식별자(Unique Identifier)로 식별 가능[ userobject_id ] - 2개 이상의 인스턴스( p051, p052)를 포함 - 업무 프로세스에 이용됨 - 속성(userobject_id._id )을 반드시 가짐 - 관계를 가짐 ▪︎ 분류 - 유무형에 따른 분류 : 유형(유저, 동물) , 개념(동물 보호 요청), 사건(주문, 환불) - 발생시점에 따른 분류 기본 엔티티(Key Entity) : 독립적 / 주식별자를 상속받지 않고 자신의 고유한 주식..